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9.27 07:55
신자유주의의 신? 애덤 스미스는 억울하다. 신자유주의의 ‘신’으로 군림해온 애덤 스미스 박사와 그의 저서 <국부론>은 그간 큰 오해를 받아왔다. 스미스 박사가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이론을 필두로, 인간의 이기심을 무한긍정하고, 어떠한 규제도 허락하지 않았다는 오해 말이다. 사람들은 흔히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을 믿고는 하는데, 애덤 스미스 박사의 이론 역시 그렇다. 애덤 스미스 박사의 이론은 그간 시장주의자들, 기..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9.14 00:26
새로운 인류 '호모 날레디' 발견되다. 장례 풍습, 직립 보행, 도구 사용했을 듯 인류의 진화사가 다시 쓰여지고 있다. 지난 2013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발견된 유해 조각에서 이제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종류의 원시 인류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번 화석에 대해 "연대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최소 350만년 전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최초의 인류종으로 인식됐던 오스트랄로피테쿠..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9.04 09:34
종교가 진리를 줄 것이라던 교수님,당신의 말은 틀린 것 같아요. 한때 존경했던 교수님이 있었다. 이 교수님은 늘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대학 시절 배워야 할 것은 '과학적 사고 방식' 하나면 족하다는 말씀을 하시곤 했다. 나는 지금도 그가 과학이라는 말에 대해 나름대로 정의를 내렸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과학이란 보다 신빙성있는 진실을 제공하기 위해 방법과 절차를 활용하는 과정이다." 지금 생..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8.08 07:30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남여 2003명을 대상으로 '해방 이후 우리나라를 가장 잘 이끈 대통령'이 누구인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44%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가장 잘 이끈 대통령이라고 답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24%, 김대전 전 대통령이 14%로 그 뒤를 이었다. 응답자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잘못한 일이 많다(16%)라는 생각보다 잘한 일이 많다(..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3.10 09:49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철학자 프란시스 베이컨은 영국의 대표적인 경험주의 철학자다. 그는 인간의 이성과 논리로 세계를 증명하려 했던 합리론자들과 달리, 자연 세계에서의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세계를 증명하려 했다. 합리론의 거두라 할 데카르트 보다 35년 일찍 태어난 그는 그는 새로운 학문의 방법으로 '귀납법'을 제시하며, 인간이 경험을 통해 참다운 인식을 할 수 있다고 ..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2.18 15:14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나는 존재한다.'라는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데카르트는 근대 인식론 논쟁에서 대륙의 합리론을 이끈 선두자로, 근대 철학의 포문을 열었다는 의미에서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 평가받기도 한다. 데카르트가 살았던 17세기는 교회의 권위가 무너지며 허무주의적이고 회의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던 때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시대적 분위기 속에 데카르트는 누구도 의심할 수 없는 절대적인 진리가..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2.18 14:06
'망치를 든 철학자', '신은 죽었다'라는 말로 유명한 철학자 니체는 일찍이 그리스도교 전통에 기반한 윤리관을 비판하며, '주인의 도덕'과 '노예의 도덕'에 대해 말한 바 있다. 니체에 따르면 그리스도교의 도덕관은 '노예의 도덕'이며, 인간이 추구해야 할 도덕은 '주인의 도덕'이다. 고대 그리스에는 선악의 구분 대신에 좋음,나쁨의 구분이 있었다. 여기서 좋음이란 주인의 생활 방식을 말하고, 나쁨이란 노..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2.16 10:59
철학자 존 롤즈는 분배의 몫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적 정의를 세 가지로 구분했다. 순수한 절차적 정의, 불완전한 절차적 정의, 완전한 절차적 정의다. 순수한 절차적 정의는 올바른 결과에 대한 기준은 없지만, 공정한 절차가 있어 그 절차만 따르면 결과에 관련없이 공정한 것이라 간주되는 경우다. 불완전한 절차적 정의는 올바른 결과에 대한 기준은 있지만, 이러한 결과를 담보할 절차가 없는 경우다. 그리고 완전한 절차적 정의는 올바른 결과에 대..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1.23 13:57
아담 스미스 박사는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국가의 의무를 세 가지로 한정했다. 첫째, 다른 독립사회의 폭력과 침략으로부터 그 사회를 보호하는 것. 이는 군사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둘째, 그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다른 구성원의 불의나 억압에서 보호하는 것. 이는 경찰과 검찰, 그리고 재판의 엄정한 시행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셋째, 사회 전체에 큰 이..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5.01.16 16:45
존 스튜어트 밀은 사상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가 인간의 정신적 복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 철학자다. 어떤 의견에 대해서든 침묵을 강요하면 인간과 사회를 해치는 결과를 낳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표현의 자유, 사상의 자유가 지켜져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저서 <자유론>을 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첫째, 자신이 절대적으로 옳다는 전제가 없는 한 침묵을 강요받는 의견이 진리일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둘째,..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4.09.24 18:04
고교 시절 이인직의 <혈의 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배운 바 있다. "이 소설은 문학적 수준이나 가치로 보아 근대소설의 효시로서 한국 신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지금도 숱한 상식 문제들에서 이인직의 <혈의 누>는 한국 근대소설의 효시라 평가받고 있다. 문학적 지식이 적은 필자로선 <혈의 누>가 한국 문학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는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한국 신소설의 대표작이란 <..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4.09.23 06:56
중국의 고전 <맹자>는 이로움과 올바름에 대한 논쟁으로 시작된다. 어느 날 맹자의 방문을 받게 된 양나라 혜왕은 '선생께서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오셨으니 장차 내 나라에 어떤 이익이 있을까요?'라고 맹자에게 묻는다. 그러자 맹자는 왕의 면전에서 서슴없이 그를 꾸짖는다. 맹자는'왕은 하필 이익만을 말합니까. 인과 의가 있을 뿐입니다'라며 '왕이 어떻게 내 나라를 이롭게 할까' 궁리한다면 대부들은 '어떻게 내 집안..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4.08.14 06:30
시험을 앞두고 '벼락치기'를 하다보면 밤을 지새우기가 일쑤다. 하지만, 밤을 지새운 후 우리는 더 심한 피로감이 몰려오는 느낌을 받곤 하는데, 그 이유는 밤을 지새우는 행위가 멜라토닌이란 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멜라토닌은 수면과 면역을 관장하는 호르몬으로 주로 저녁시간에 분비된다. 한밤 중에 멜라토닌의 분비는 낮 시간에 비해 최대 50배까지 증가한다. 밤을 지새울 경우 이 호르몬의 분비가 낮아져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4.08.05 06:00
2013년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동물은 무엇이었을까? 세계보건기구(WHO)의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게이츠 재단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동물은 모기였다. 모기는 지난 2013년 72만 5000여명의 생명을 앗아갔다. 지난 2012년에도 모기는 '인간에게 가장 치명적인 동물' 1위를 차지했는데, 모기로 비롯된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 뇌염 등이 수많은 인간의 목숨을 앗아간 이유였다. 인간에게 ..
인문/상식/지식 김순종닷컴 2014.08.05 05:30
니체는 그의 대표적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인간 정신 발전의 3단계를 말한 바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묵묵히 사막에서 발걸음을 재촉하는 낙타의 단계다. 이 단계에서 인간은 갖은 권위와 의무로부터 속박당한다. 두 번째 단계는 사자의 단계다. 이 단계에서 인간은 그 동안 자신을 속박하던 권위나 의무의 짐을 벗어던지고 '나는 욕망한다'라고 ..